
“ETF 수익률 -12%... 나만 그래?”
처음엔 “우상향 한다던데~” 하며 샀는데,
몇 달 지나고 나니 계좌에 빨간불 아닌 파란불만 가득한 경험... MZ라면 한 번쯤 겪었을 거예요 😩
“이거 팔면 진짜 손해일까?”
“버티면 돌아올까, 아니면 이 돈 다른 데 쓰는 게 나을까?”
오늘은 ETF 투자에서 손실을 맞이했을 때의 선택 기준을 정리해드릴게요!
📉 마이너스 수익 = 무조건 손해일까?
절대 그렇지 않아요!
ETF는 장기 성장성과 흐름이 핵심이기 때문에
일시적인 하락은 ‘과정’일 수도, ‘시그널’일 수도 있어요.
그럼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야 할까요? 👇
📊 손실 났을 때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
체크 포인트
|
질문 예시
|
의미
|
📌 투자 기간
|
"나는 이걸 언제까지 보유할 계획이었지?"
|
단기냐 장기냐에 따라 판단 다름
|
🔍 추종 지수
|
"이 ETF는 어떤 산업을 따라가고 있지?"
|
구조적으로 죽은 섹터인가? vs 일시 조정인가?
|
📉 수익률 낙폭
|
"-5%? -15%? -40%?"
|
큰 하락이면 구조적 이슈일 수도
|
💬 최근 뉴스
|
"이 산업/ETF 관련 뉴스 뭐 있었지?"
|
외부 요인으로 인한 일시 하락 가능성
|
📊 거래량
|
"요즘도 거래 활발한가?"
|
거래 끊기면 유동성 위험도 존재
|
💡 손절 vs 존버, 어떻게 판단할까?
🟥 손절해도 괜찮은 경우
- 투자 이유가 사라졌을 때
- 추종 섹터 자체가 위축되었을 때
- 재정상 여유가 없을 때 (현금 필요)
🟩 버텨야 할 경우
- 투자 목적과 기간이 명확할 때
- 장기적 성장이 보장된 산업일 때
- 하락 원인이 일시적일 때 (예: 금리, 환율 이슈 등)
📌 ETF는 "타이밍"보다 "기간"이 더 중요해요.
지금 하락 중이라도 꾸준히 분할매수하면 평균단가 하락도 가능하죠!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-10%면 무조건 손절하는 게 맞죠?
A. 꼭 그렇진 않아요. 낙폭이 클수록 산업 분석과 재점검이 중요해요.
단기 조정이면 버티는 게 맞고, 구조적 침체면 손절도 전략이에요.
Q. ETF는 망하지 않죠?
A. 거의 대부분의 ETF는 상장폐지 위험은 낮지만, 운용사 변경이나 합병 가능성은 있어요.
소외되거나 유동성 없는 ETF는 피하는 게 좋아요.
Q. 마이너스인 채로 배당은 받나요?
A. 네! 배당은 별도로 지급되므로, 수익과 상관없이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받습니다.
🔗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🏷️ 해시태그
#ETF손실 #마이너스수익률 #ETF심리관리 #MZ재테크
#투자고민 #버티기전략 #ETF분할매수 #손절기준 #ETF팁
'정보 공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🤖 AI는 나보다 일도 잘하더라… 그래서 QQQ 샀다 (0) | 2025.04.23 |
---|---|
💸 매달 10만 원으로 S&P500 사는 이유 (0) | 2025.04.23 |
🇺🇸 미국 주식, 테슬라 만원으로 사는 방법 (ft. 소수점 매수) (0) | 2025.04.22 |
💸 월배당 ETF, 커피값 벌 수 있을까? (0) | 2025.04.22 |
🔎 “요즘 다 이거 산다” MZ가 열광하는 ETF TOP3 (2) | 2025.04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