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 공유

📊 PER만 보면 손해? 꼭 알아야 할 투자 지표 3가지

by hwimoneyfreedom 2025. 5. 14.

 

 

 

🙋 “PER 낮으면 무조건 싼 거 아닌가요?”

많은 투자자들이 PER 낮은 종목을 보면 이렇게 말합니다.

“오! 저평가네?”

하지만!

PER 낮다고 무조건 ‘좋은 주식’은 아닙니다.

어떤 기업은 ‘싼 게 비지떡’,

어떤 기업은 **‘비싼데도 계속 오르는 명품’**일 수 있어요.

그래서 필요한 게, 다른 지표와의 조합입니다!


📐 PER, PBR 외에 꼭 봐야 할 핵심 지표 3가지

지표명
설명
체크 포인트
PEG
PER ÷ EPS 성장률
성장률 반영한 PER. 1 이하
‘성장 대비 저평가’로 판단 가능
ROE
자기자본이익률
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는지. 15% 이상이면 우량기업
EV/EBITDA
기업 가치 대비 이익
인수 가치나 실질 수익성 비교 시 유용. 같은 업종 비교에 강함

💡 실전 투자에서 이렇게 활용해요

① PEG로 ‘성장 대비 가성비’ 체크

  • 예) 어떤 기업이 PER 30인데 EPS 성장률이 40%라면 PEG는 0.75 → 꽤 괜찮음!
  • 주의: EPS 성장률은 직전 분기나 연간 전망치 기준으로 계산해야 신뢰도 UP

② ROE로 ‘기업 체질’ 확인

  • ROE는 10% 이상이면 양호, 15% 이상이면 경쟁력 있는 기업
  • 단기 이익보다 지속적인 수익성 구조를 보는 데 탁월

③ EV/EBITDA로 ‘내실’ 비교

  • PER은 회계상의 숫자에 따라 왜곡될 수 있어요
  • EV/EBITDA는 기업 전체의 가치를 수익과 비교하므로, M&A 타깃이나 기업 비교에 유리
 

🧠 ETF 투자자도 참고하세요!

ETF도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죠?

ETF의 구성 종목 중 상위 5~10개 종목의 ROE, PEG, EV/EBITDA를 체크해보면

그 ETF의 **‘성장성’과 ‘가치 대비 효율’**을 가늠할 수 있어요.

예)

TIGER 미국테크TOP10 → 애플, 엔비디아, 테슬라

→ ROE 25% 이상, PEG 1.5 내외 → 고성장 + 고평가 인정 기반 투자 가능

 
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PER, PBR, PEG, ROE, EV/EBITDA 중 뭐가 제일 중요해요?

👉 정답은 “상황과 업종에 따라 다르다”입니다.

성장주는 PEG, 안정주는 ROE, 비교는 EV/EBITDA를 더 유용하게 씁니다.

Q2. EV/EBITDA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?

👉 네이버 금융, 인베스팅닷컴, 마켓스미스 같은 사이트에서 제공됩니다.

단, 국내는 덜 일반적이라 미국 종목 기준으로 많이 쓰여요.

Q3. ETF는 이런 지표 적용 못하나요?

👉 개별 종목처럼 직접 계산하긴 어렵지만, 상위 종목의 지표를 체크하면 대략적인 성격을 파악할 수 있어요.


📎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

https://blog.naver.com/hwi_money_freedom/223865260399


🏷️ 해시태그

#PER #PEG #ROE #EVEBITDA #주식기초지표 #ETF투자 #미국주식분석 #성장주분석 #밸류에이션기초 #투자공부